2024년 상반기 정기안전보건교육(연구개발업 12h)
직무스트레스의 이해 및 관리 - 직무스트레스의 이해, 직무스트레스의 측정 및 관리
1. 다음 중 근로자에게 스트레스와 우울증을 일으키는 직장문화 요인이 아닌 것은?(객관식)
경험이 중시되는 업무로 인해 선배의 지나친 권위의식
✔ 충분한 보상
성 차별
외모와 연령, 결혼 여부에 따른 차별
2. 조직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?(객관식)
직원의 이직
업무의 불안정
적절한 보상
✔ 조직체계와 지위에 대한 문제
3. 만성적 스트레스에 대한 신체반응에서 1단계 경고반응으로 신체적 증상으로 맞는 것은?(객관식)
골절
심정지
뇌사
✔ 근육통 및 관절통
4. 다음 중 불안에 따른 증상이 아닌 것은?(객관식)
인격 와해
중요한 것에만 집중
✔ 원활한 의사소통
선택적 부주의 증가
5. 사업주와 근로자는 직무 스트레스 예방과 초기관리가 늦어지면 결과적으로 산업재해 및 각종 질병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치료 등 관리비용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(OX문항)
✔ O
X
6. 평가는 순전히 개인만의 동기부여 요소이다.(OX문항)
O
✔ X
7. 직무 스트레스 예방 프로그램 추진팀의 업무를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 위임할 수 있다.(OX문항)
✔ O
X
1. 조직체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?(객관식)
직원의 이직
업무의 불안정
적절한 보상
✔ 조직체계와 지위에 대한 문제
2. 불안증은 친숙하지 않은 환경에 적응하고자 할 때 나타나는 가장 기본적인 반응이다.(OX문항)
✔ O
X
3. 다음 중 직무스트레스에 의한 건강장해 예방조치가 아닌 것은?(객관식)
작업환경·작업내용·근로시간 등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대하여 평가하고 근로시간 단축, 장·단기 순환작업 등의 개선대책을 마련
작업량·작업일정 등 작업계획 수립 시 해당 근로자의 의견을 반영
✔ 직원들의 업무량을 늘리고 관리자를 통해 항시 감시할것
작업과 휴식을 적절하게 배분하는 등 근로시간과 관련된 근로조건을 개선
4. 다음 중 직무 스트레스의 개선사항이 아닌 것은?(객관식)
업무가 근로자의 역량에 맞는지 확인
근로자의 흥미를 일으키는 업무 설계
✔ 근로자의 의견개진 기회 박탈
근로자에게 역할과 책임을 명확하게 정의
5. 직무 스트레스 측정 요인이 아닌 것은?(객관식)
✔ 개인자산 파악
직무 요구
직무 자율
조직 체계
6. 사업주와 근로자는 직무 스트레스 요인을 제거하거나 관리하여 직무 스트레스로 인한 건강장해를 예방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.(OX문항)
✔ O
X
7. 사업주는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직무 스트레스 예방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하여 사업장 특성에 맞게 직무 스트레스 예방 프로그램 추진팀을 구성해야 하고, 이때 예산 등에 관한 결정권이 있는 사람이 참여해야 한다.(OX문항)
✔ O
X
댓글